긴급 도움 및 법률지원
신청 자격
-
여성폭력(가정폭력, 성폭력, 스토킹, 교제폭력 등)을 경험한 모든 여성 피해자
-
현재 위기상황에 있거나 신고·상담을 원하는 경우 누구나 사용 가능
지원 내용
-
1366 여성긴급전화 통한 24시간 상담 및 보호 조치 안내
-
보호시설(쉼터) 긴급 입소 지원 및 가해자 접근금지 요청
-
법률상담 및 지원: 무료 변호인 연결, 고소·고발 절차 안내
-
긴급 의료·심리상담·정서 지원 제공
신청 방법
-
전화: 1366 또는 지역 콜센터로 연락
-
인터넷: 온라인 상담 접수(여성가족부 누리집)
-
직접 방문: 지역 여성인권·폭력상담소 또는 경찰·법원 접수처
주의사항
-
최초 상담 후 피해 정도에 따라 보호조치가 달라질 수 있음
-
신변보호 및 개인정보 보안 요청 가능
의료·심리·정서회복 지원
신청 자격
-
성폭력 또는 신체폭력피해를 입은 여성 및 청소년
-
관할 상담소 또는 지원기관을 통해 신청 가능
지원 내용
-
법률 상담 및 소송지원
-
의료비 및 수술비, 심리치료 및 정신건강 상담비 등 비용 지원
-
피해 후 보호와 회복을 위한 심리 회복 프로그램 제공
신청 방법
-
가까운 해바라기센터 또는 여성긴급전화 1366 연계를 통해 상담 후 신청
-
상담소에서 제출 요청하는 서류 제출 및 절차 안내
-
의료기관 및 상담센터와 협업하여 단일 통합 서비스 제공
주의사항
-
지원 금액은 피해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조정되며, 예산 내 지급
-
법적 절차 진행 시 일정 기간 상담 및 지원 유지
자립·생활 안전망 지원
신청 자격
-
폭력피해로 인해 일시적 또는 장기적 생계 위기 상태에 놓인 경우
-
피해사실이 확인된 피해자 대상
지원 내용
-
피해자 생활지원금 (생계비·주거비 등 단기 생계안정금) 일부 지자체에서 운영
-
안전한 주거지 제공 (피해자 쉼터, 임시 보호시설 등)
-
취업·자립지원 프로그램 안내 및 연계 (맞춤형 직업훈련, 일자리 정보 등)
신청 방법
-
피해 신고 후 관할 시·도 폭력피해자 지원센터로 상담 및 서비스 신청
-
거주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지자체 생활지원금 안내 및 신청 가능
주의사항
-
일부 지자체는 신청 가능 대상 및 지원 기간 제한이 있을 수 있음
-
연계되는 프로그램은 사후 모니터링 필요


